소재개발 썸네일형 리스트형 한계를 넘어 일상을 바꾼 기술, 밀폐용기 신소재 개발 스토리 우리 회사가 ‘락앤락’ 밀폐용기에 쓰이는 신소재 ‘RJ710’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기존 의료용 PP 소재를 식품용기로 확장한 아이디어로 착색과 냄새 배임을 40% 이상 줄이는 혁신적인 성과를 거둔 건데요. 집념과 세심함으로 도전을 이어온, 성과의 주역! 소재개발3팀 김성현 프로를 만나봤습니다. Q. 밀폐용기 신소재 개발 및 상용화 완료 소식을 축하드립니다! 먼저 이번 프로젝트의 추진 배경이 궁금한데, 본 소재를 어떻게 개발하게 되신 건가요? A. 감사합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고객사에서 먼저 기존 식품 용기용 PP 소재의 세척성과 내오염성 문제를 개선해 달라고 요청하신 것이 시작이었습니다. 세척 시 잔여물이 남고, 냄새나 색 배임이 발생하는 기존 소재의 한계를 해결하고 싶다는 니즈였습니다. 고객사.. 더보기 플라스틱은 지금 친환경 변신 중! 최근 자주 접하게 되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는 매우 중요한 이슈이고, 그 중에서도 환경에 관한 관심은 여전히 뜨겁습니다. 오늘은 친환경 제품을 위해 업계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지 생산 공정 차원에서 다양하게 접근해보려 합니다. 먼저 플라스틱 소재의 물리적 성능을 향상하거나 화학적 구조를 변화시키는 소재 개발, 기존 소재 재활용, 친환경 원료 대체의 방식이 있는데요, 차례대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01 #1. 적은 양으로 더 튼튼한 소재 만들기 첫 번째 방법은 소재 강건화입니다. 소재 강건화란, 쉽게 말해, 좀 더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소재를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물성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면, 적은 양의 소재로도 기존의 제품과 동일한 성능을 보유하는 제품을 만들 수 있습니다..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