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폴리프로필렌

금속 파이프에서 플라스틱 파이프로 지어진 지 30년이 훌쩍 넘은 집에 살게 된다면 누수와 녹물로 한 번쯤 걱정하게 될 것입니다. 1994년 이전에 지어진 공동주택들은 수도·온수 배관으로 강철로 만든 관이나 구리, 금속 파이프를 사용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죠. 금속 파이프가 아닌 플라스틱 파이프를 설치했더라면 필터 교체 비용이나 녹물에 따른 건강 걱정 없이 깨끗한 물을 사용할 수 있지 않았을까요? 오늘은 금속 파이프에 비해 환경친화적이면서 더 편리한 플라스틱 파이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유체의 이동통로, 파이프가 궁금하다면? 물, 수도, 가스를 연결하는 파이프의 종류와 특징 안녕하세요, 블로그 지기입니다. 바쁜 도심에서 여기 저기 오고 가다 문득 든 한가지 궁금증! 우리 인간은 도로와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하는데, 액체와 .. 더보기
프로야구의 계절이 왔다! 야구 속 숨겨진 화학 이야기 지난 4월 2일 기다리고 기다리던 프로야구 개막전이 시작했습니다! 특히 올해는 KBO 리그 출범 40주년을 맞은 해라 야구 팬들에게는 더욱 남다른 한 해가 될 텐데요. 올해는 어떤 팀이 우승할지, 예상과 다른 파란을 불러일으킬 팀이 나올지 기대가 모아지는 가운데, 진정한 야구 팬이라면 야구 용품들의 소재도 알아보는 것은 어떨까요? 경기도 즐기고 지식도 쌓고 일석이조의 재미를 느껴보자고요! 01 올해는 야구장에서 치맥과 함께 소지말박! KBO리그 출범 40주년을 맞은 올해 프로야구는 4월 2일 개막전을 시작으로 10개 팀이 팀당 144경기, 총 720경기를 치르게 됩니다. 올해는 2022년 항저우 아시안게임을 앞두고 있지만 해당 기간 동안 KBO 정규시즌은 중단되지 않고 진행됩니다. 또 KBO리그 출범 4.. 더보기
플라스틱, ‘진짜’ 돈이 되다 안녕하세요, 블로그 지기입니다. 종이 지(紙)와 화폐 폐(幣)자를 사용하는 우리나라 지폐는 이름과 달리 종이가 아닌 면으로 만들어집니다. 물론 ‘지폐’라는 단어가 생겨날 무렵에만 해도 지폐는 종이로 만들어졌죠. 하지만 많은 사람의 손을 거치며 이리저리 떠도는 지폐는 진화를 거듭했는데요. 오늘은 종이와 면을 거쳐 이제는 플라스틱으로 업그레이드된 지폐의 숨은 이야기를 들려드리겠습니다. 01 플라스틱으로 돈을 만들다니? 조개껍데기부터 곡식, 가축 비단, 향신료, 금속, 은행의 직인이 찍힌 종이 그리고 전자화된 데이터까지! 화폐는 상호 간 신뢰와 합의를 기반으로 하며, 우리의 곁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해 왔습니다. 은행과 같이 화폐의 가치를 인정해줄 장치가 없던 시기에는 화폐 그 자체의 가치가 중요했지만, 세.. 더보기
촉매의 원리, 석유화학과 플라스틱의 시대를 열다 안녕하세요, 블로그 지기입니다. 오늘은 석유화학뿐만 아니라, 화학 전반에서 아주 중요하게 다뤄지는 물질, ‘촉매’에 대해 알아볼 텐데요. 촉매는 우리 일상생활 속에서도 많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배기구 안에 백금이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촉매역할을 하고, 겨울철 주머니 난로를 따뜻하게 하는 데에도 백금 촉매가 들어있답니다. 심지어 우리 몸에도 단백질로 이뤄진 효소가 반응 속도를 조절해주는 촉매 역할을 하는데요. 이런 촉매가 석유화학 공정 속에서는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알아볼까요? 01 촉매는 무엇인가요? 석유화학 공정에서 촉매는 빼놓을 수 없는데요. 석유화학 산업에서 주로 쓰이는 올레핀(Olefin)은 보통 800도 이상의 고온으로 석유를 증기 분해해 제조합니다. 그런데 실제로 800도까지 열을.. 더보기
한화토탈, 핵심사업 대규모 증설 투자 완료 안녕하세요. 한화토탈 블로그 지기입니다. 최근 한화토탈은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등 주요 제품 증설을 완료하며 17년부터 추진해온 초대형 투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는데요. 지난 5일, 한화토탈은 폴리프로필렌 신규 공장 건설과, 가스 전용 분해시설(NCC Side Cracker)를 증설을 끝마쳤다고 알렸습니다. 약 28개월간 총 5300억원이 투자된 이번 프로젝트의 자세한 내용, 함께 살펴보실까요? 01 폴리프로필렌 공장 신규 증설, 국내 선두로 올라서 3800억원이 투자된 한화토탈의 신규 폴리프로필렌 공장은 연간 40만톤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췄습니다. 이번 공장 증설로 한화토탈의 연간 폴리프로필렌 생산능력은 72만톤에서 국내 최대 수준인 112만톤으로 증가했습니다. 폴리프로필렌(Polypropyl.. 더보기
[당첨자 발표] 폴리프로필렌(PP) 더 알아보기 퀴즈 이벤트! 한화토탈 3월의 SNS 이벤트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정답과 함께 당첨자를 공개합니다! 문제1. 폴리프로필렌(PP) 중에서 프로필렌(propylene)만을 합성한 소재를 HOMO PP라고 한다. ( O ) → 프로필렌만을 합성한 단일중합체(homopolymer)를 HOMO PP라고 합니다. 문제2. BLOCK PP는 HOMO PP보다 충격에 약하다. ( X ) → BLOCK PP는 특유의 구조 덕분에 HOMO PP보다 상온에서 충격을 견디는 정도가 더 높습니다. 문제3. 폴리프로필렌(PP)은 충격에 약해 대용량 전력 케이블에는 사용되지 않는 소재다. ( X ) → 한화토탈은 친환경 전력 케이블용 폴리프로필렌(PP)을 개발해, 지난해 국가기술표준원의 신기술(NET) 인증을 받았습니다. 관련 소.. 더보기
주사기부터 자동차까지 쓰이는 다양한 폴리프로필렌(PP) 석유화학 제품은 합성을 통해서 플라스틱, 합성고무 등과 같은 우리의 일상 생활 속 다양한 소재를 만드는데요. 기초유분인 에틸렌, 프로필렌 등을 합성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합성수지를 만드는 게 대표적이죠. 이런 PE, PP 합성수지 앞에 몇 가지 이니셜이 붙어 LDPE, LLDPE, HOMO PP 등 소재 종류가 다양해지는데요. 석유화학 소재는 왜 이렇게 많고, 복잡할까요? 석유화학 소재들의 이름에는 소재가 합성되는 방식과 특징이 담겨있는데요. ‘너의 이름은’ 시리즈를 통해 앞으로 더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처음으로 다룰 소재는 바로, 편의점 식품 포장 용기 등 우리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입니다! 01 가장 안전한 플라스틱, .. 더보기
한화토탈, 재활용 가능한 전력 케이블용 PP ‘신기술 인증’ 받아! 안녕하세요. 한화토탈 블로그 지기입니다. 오늘은 한화토탈이 개발한 친환경 전력 케이블용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이하 PP)이 국가기술표준원의 신기술(NET) 인증을 받았다는 소식을 전달해 드립니다! 신기술(New Excellent Technology, NET) 인증 제도는 국가기술표준원이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된 기술이나 기존 기술을 혁신적으로 바꾼 우수한 기술을 인증하는 제도인데요. 오늘은 한화토탈의 고부가 합성수지 제품 개발경쟁력을 다시 한 번 입증한 제품, 친환경 전선용 PP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1한화토탈이 개발한 친환경 전력 케이블용 PP, 국가기술표준원 신기술 인증 취득! 한화토탈은 16일, 국가기술표준원으로부터 ‘재활용이 가능한 전력 케이블용 폴리프로필렌(PP)’의 ‘신기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