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프로필렌 썸네일형 리스트형 폴리프로필렌의 진화, 복합 PP 기술 발전에 따라 많은 상품들이 점점 더 가볍고, 튼튼하고, 똑똑해지고 있는데요? 이런 변화의 한가운데에는 바로 복합 폴리프로필렌(=복합PP)이 있어요. 자동차 부품이나 생활가전 등 여러 고기능성 제품에 쓰이는 꼭 필요한 소재인데요? 선선한 가을! 축제 시즌을 맞아 현장에서 자주 쓰이는 복합 PP 활용 제품들을 함께 살펴보려고 해요. 1. 복합 PP는 무엇인가?정식 명칭은 복합 폴리프로필렌(PP Compound)인데요, 기존의 폴리프로필렌에 각종 첨가제와 소재를 더해 강도, 내열성, 내충격성 등 여러 성질을 개선한 고기능성 소재예요. 덕분에 주방에서 쓰이는 생활가전에는 물과 열에 강한 고내열·고광택 복합 PP가 쓰이고, 자동차 내·외장재에는 충격에 강한 고강도 복합 PP가 사용되곤 하죠. 용도에 맞게 .. 더보기 김치 냄새 안배는 반찬통이 있다? 작은 물건에 담긴 큰 이야기! 석유화학으로 만들 수 있는 모~든 것들을 소개하는 '만물상'의 아홉 번째 이야기는 냉장고를 열면 가득 차 있는 반찬통🥣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안에 들어있던 반찬의 색깔과 냄새가 진하게 배어 못쓰게 됐던 것도 같은데, 요즘은 김치 국물도 잘 이겨낼 수 있다고 하네요! 과연 반찬통엔 어떤 이야기가 숨어 있을까요?궁금하다면 아래 이미지 클릭😍종합 케미칼 & 에너지 리더,한화토탈에너지스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더보기 종이에서 플라스틱까지, 전기 안전을 책임지는 절연재 작은 물건에 담긴 큰 이야기! 석유화학으로 만들 수 있는 모~든 것들을 소개하는 '만물상'의 일곱번째 이야기는 바로, 우리의 하루를 움직이게 하는 전기⚡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전기를 배달하는 전선 안에는 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절연재가 자리하고 있는데요, 이 전선 속 절연재 안에는 어떤 이야기가 숨어있을까요? 궁금하다면 아래 이미지 클릭 클릭 클릭! 😍😍😍 종합 케미칼 & 에너지 리더,한화토탈에너지스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더보기 [텍투더퓨처] 전선도 재활용이 되나요? 무거운 고철을 고물상에 가져다 주면 돈으로 바꿔주는 것을 아시나요? 고철에 포함된 다양한 금속은 재활용을 하기 때문에 꽤나 값어치 있게 팔리는데요. 우리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전선도 재활용을 한다고 합니다. 어떻게 하는 걸까요? 01전선 절연체 팔 수 있나요? 모든 전자제품에 필요한 전선. 충전을 하거나 전기를 이용해야 한다면 어디서나 쓰이는데요. 전선은 중앙에 전기가 이동하는 ‘도체’와 도체를 감싸 감전이 되지 않게 해주는 ‘절연체’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여러분이 안 쓰는 전선을 가지고 고물상에 간다면, 고물상에서는 도체인 구리와 절연체를 분리시키고 이중 다시 활용 가능한 구리만 사간답니다. 그런데 구리선을 뽑고 남은 절연체가 눈에 띄는데요. 바로 이 절연체, 재활용이 안되고 .. 더보기 [한토에 Log-in] #10 직무인터뷰 편 | PP연구팀 정현태 프로 한화토탈에너지스 직원들은 어떤 업무를 맡고 있을까요? 이번 직무인터뷰 영상의 주인공은 PP연구팀 정현태 프로입니다😊 연구원 각자 제품을 하나씩 담당해서 개발부터 상업화까지 긴 여정이 걸리는데요. 혁신적인 제품을 내놓기까지 디자인 관점에서 끊임없이~ 고민하는! '혁신을 꿈꾸는 디자이너' 미국 대학 박사 출신 연구원이 말하는 PP연구팀의 매력은 무엇일까요? 그리고 한화토탈에너지스를 선택한 이유는? 우리 함께 #한화토탈에너지스 에 #로그인 해볼까요? 🔽클릭! 종합 케미칼 & 에너지 리더, 한화토탈에너지스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더보기 [케미툰]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그것이 알고 싶다 플라스틱 제품이라면 꼭 표시되어 있는 PP, 혹은 PE. 바로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약자인데요. 같은 듯 다른 두 물질은 어떤 특징과 쓰임새를 가지고 있을까요? 한화토탈에너지스의 똑똑이 케미가 알려드려요~ 플라스틱의 대표 주자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은 각자의 특성에 따라 적재적소에 쓰이고 있었네요. PP와 PE 덕분에 전자제품을 튼튼하게, 식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었습니다. 우리 삶에 꼭 필요한 플라스틱 PP, PE 이야기 재미있으셨나요? 다음엔 어떤 석유화학 이야기로 또 찾아올지 기대해주세요~ 종합 케미칼 & 에너지 리더, 한화토탈에너지스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더보기 금속 파이프에서 플라스틱 파이프로 지어진 지 30년이 훌쩍 넘은 집에 살게 된다면 누수와 녹물로 한 번쯤 걱정하게 될 것입니다. 1994년 이전에 지어진 공동주택들은 수도·온수 배관으로 강철로 만든 관이나 구리, 금속 파이프를 사용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죠. 금속 파이프가 아닌 플라스틱 파이프를 설치했더라면 필터 교체 비용이나 녹물에 따른 건강 걱정 없이 깨끗한 물을 사용할 수 있지 않았을까요? 오늘은 금속 파이프에 비해 환경친화적이면서 더 편리한 플라스틱 파이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유체의 이동통로, 파이프가 궁금하다면? 물, 수도, 가스를 연결하는 파이프의 종류와 특징 안녕하세요, 블로그 지기입니다. 바쁜 도심에서 여기 저기 오고 가다 문득 든 한가지 궁금증! 우리 인간은 도로와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하는데, 액체와 .. 더보기 프로야구의 계절이 왔다! 야구 속 숨겨진 화학 이야기 지난 4월 2일 기다리고 기다리던 프로야구 개막전이 시작했습니다! 특히 올해는 KBO 리그 출범 40주년을 맞은 해라 야구 팬들에게는 더욱 남다른 한 해가 될 텐데요. 올해는 어떤 팀이 우승할지, 예상과 다른 파란을 불러일으킬 팀이 나올지 기대가 모아지는 가운데, 진정한 야구 팬이라면 야구 용품들의 소재도 알아보는 것은 어떨까요? 경기도 즐기고 지식도 쌓고 일석이조의 재미를 느껴보자고요! 01 올해는 야구장에서 치맥과 함께 소지말박! KBO리그 출범 40주년을 맞은 올해 프로야구는 4월 2일 개막전을 시작으로 10개 팀이 팀당 144경기, 총 720경기를 치르게 됩니다. 올해는 2022년 항저우 아시안게임을 앞두고 있지만 해당 기간 동안 KBO 정규시즌은 중단되지 않고 진행됩니다. 또 KBO리그 출범 4.. 더보기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