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DPE

병뚜껑 하나에 담긴 놀라운 기술, HDPE 이야기 음료수를 사 마실 때 병뚜껑이 느슨하게 닫혀 있다면 과연 그 제품을 믿고 살 수 있을까요?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망설이게 될 겁니다. 이처럼 병뚜껑은 단순히 병을 닫는 역할만 하는 게 아닙니다. 내용물의 신선도와 위생을 유지하고, 외부 오염으로부터 안전하다는 신뢰를 주는 중요한 장치죠. 그 수많은 병뚜껑 중에서도 HDPE라고 불리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소재로 만들어진 병뚜껑은 지금 우리의 일상에서 빠질 수 없는 존재가 되었습니다. 오늘은 HDPE가 어떤 소재인지, 병뚜껑의 역사는 어떤지, 그리고 HDPE 병뚜껑이 일상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1. HDPE란 무엇일까?HDPE는 ‘High Density Polyethylene’의 줄임말로 우리말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라고 합.. 더보기
[텍투더퓨처] 수도관의 녹물, 동파 걱정 없애는 이것 오래된 건물에서 녹물이 나온다는 기사를 보신 적이 있나요? 추운 겨울, 파이프가 동파되어 물이 역류했다는 소식은요? 지은 지 오래된 아파트에 사신다면, 익숙하실 수도 있는 일인데요. 이런 문제가 생기는 이유는 우리가 사용하는 수도관이 ‘철’로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수도관 파이프는 플라스틱으로 만들 수 없을까요?  01플라스틱 파이프가 생산되고 있어요!   플라스틱 파이프가 실제로 생산되고 사용된다는 소식을 듣고 플라스틱 파이프 공장을 방문했는데요. 이곳에서는 거대한 플라스틱 관들이 만들어지고 있었습니다. 수도관 외에도 다양하게 사용되는 파이프들이 모두 ‘플라스틱’으로 생산되고 있었죠. 이 중 외경이 1.8m나 되는 거대한 파이프도 있었습니다.  플라스틱 파이프를 만드는 것은 소재를 녹이는 것.. 더보기
재생원료 포장백으로 플라스틱 선순환해요! 플라스틱을 만드는 과정에서 사용한 플라스틱 쓰레기를 재활용 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원재료 사용 대신 재활용 비율을 높이고, 플라스틱 사용을 줄인다면 경제적으로도 환경적으로도 좋을 텐데요. 바로 그런 일을! 한화토탈에너지스에서 하고 있습니다. 생산품 포장에 도입된 재생원료 포장백, 어떤 제품인지 함께 알아볼까요?   01재활용 플라스틱 원료 포장백 사용 한화토탈에너지스는 합성수지 제품의 자동 포장 공정에 재활용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PE) 소재로 만든 포장백을 도입했습니다. 폴리에틸렌은 에틸렌 중합으로 생성된 고분자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과 더불어 대표적인 합성수지 제품인데요. 이번에 사용된 재활용 폴리에틸렌은 각종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나온 재생원료를 가공.. 더보기
내 동료의 시간표와 함께 알아보는 직무 탐구! 사람이 좋다, HDPE 생산팀이 좋다! 이영일 과장 업무가 아무리 힘들어도 함께 일하는 사람에 따라 업무 환경과 분위기가 많이 달라진다는 점, 많은 직장인 분들은 공감하실 텐데요. 오늘은 좋은 사람들로 가득한 HDPE 생산팀의 업무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그럼, 품질 좋은 제품의 생산과 HDPE 공장이 문제없이 가동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는 이영일 과장과 함께 떠나봅시다! Q. 간단한 자기소개와 하루 일과, 맡고 있는 업무를 공유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HDPE 생산팀에서 근무 중인 이영일 과장입니다. HDPE 공장에서는 다양한 폴리에틸렌(PE) 제품 중에서도 밀도가 높은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저는 HDPE 공장이 문제없이 가동될 수 있도록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HDPE 공장은 다른 공.. 더보기
폴리에틸렌(PE),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 다양한 석유화학 소재들의 이름을 통해 그 특징을 더욱 자세히 알아보는 ‘너의 이름은’ 두 번째 시간입니다. 지난 번에는 다양한 종류의 폴리프로필렌(PP)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오늘은 석유화학공업 곳곳에서 사용되어 ‘석유화학의 쌀’이라고 불리는 에틸렌(ethylene)이 중합해 만들어진, 폴리에틸렌(PE)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01 ‘많은’ 에틸렌 모여 ‘많은’ 곳에 쓰이는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PE·Polyethylene)의 폴리(Poly-)는 ‘많은’, ‘여러 가지의’, ‘무거운’의 뜻을 가진 접두사입니다. 이름과 같이 폴리에틸렌(PE)은 탄소 2개와 수소 4개로 이루어진 유기화합물인 에틸렌이 수천에서 수십만 개 모여 만들어진 기다란 탄화수소 사슬의 중합체로, 가장 간단한 형태의 고분자라.. 더보기
비닐봉투에는 ‘비닐(vinyl)’이 들어있지 않다!? 안녕하세요, 한화토탈 블로그지기입니다. 오늘은 우리가 흔히 ‘비닐봉투’라 부르는 비닐소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는데요. 비닐봉투는 영어로 '비닐백(vinyl bag)'일 것 같지만, '플라스틱 백(plastic bag)' 또는 '폴리백(poly bag)'이라고 부릅니다. 비닐봉투가 주로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인데요. 일상 생활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플라스틱 제품이지만, 잘 몰랐던 비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1 나무를 대신하기 위해 탄생한 비닐봉투 비닐봉투는 1977년 미국에서 샌드위치를 담기 위해 처음 만들어졌는데요. 기존 종이봉투는 습기에 약하고 찢어지기 쉬워 내용물이 망가지기도 했습니다. 비닐봉투는 종이봉투에 비해 위생적으로 샌드위치를 보관해주었고, 종이봉투를 만들기 위해 나.. 더보기
병원 속 숨겨진 석유화학 제품은? 아무리 건강에 자신 있는 사람이라도 살다보면 한 번쯤은 병원에 갈 일이 생기지요. 가벼운 감기부터 수술과 입원 치료를 요하는 중병, 주기적인 건강검진까지. 병원은 살아가는 동안 자연스레 거쳐야 하는 공간입니다. 병원에서는 다양한 화학소재로 만들어진 제품들이 사용되는 공간이기도 한데요. 오늘은 병원에서 위생과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석유화학 제품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01 인공관절 _ PE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관절 이상으로 병원을 찾는 사람이 늘어난 요즘, 인공관절 수술은 통증을 호소하는 많은 환자에게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인공관절은 석유화학 제품인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으로 제작되는데요. 부드럽게 움직이는 관절의 기능을 복원하고 마모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더보기
우리의 일상을 연구하는 'PE연구팀' 연구원 이야기 우리가 일상 속에서 흔히 사용하는 플라스틱 병과 용기, 비닐 봉지 등은 'PE(Polyethylene,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지는데요. 생활 속에서 없어서는 안될 이 폴리에틸렌을 연구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바로 한화토탈의 'PE연구팀'이에요. 오늘은 보이지 않은 곳에서 우리의 편리한 삶을 위해 연구하는 PE연구팀의 김영구 전임을 만나 연구원은 어떤 일을 하는지를 들어보았습니다. Q 안녕하세요, 먼저 간단히 자기 소개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PE연구팀(Polyethylene development team)에서 제품개발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김영구 전임입니다. 저는 화학공학을 전공하였고, 석사 학위를 마친 뒤 입사해 올해 3년차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아직은 아는 것 보다 공부해야 할 것들이 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