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두 가지 혼합물의 분리 설계 방법 - [상과 혼합물의 분리 5] 지금까지 혼합물의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긴 시간 동안 여기까지 따라오셨다면 정말 수고 많으셨습니다. 이제는 아주 간단하지만 실제 응용을 해볼 차례입니다. 오늘은 기본적인 두 개 성분에 대한 '증발기(evaporator)'를 설계해 볼까 합니다. 증발기는 액체와 증기가 평형을 이룰 때 액체의 조성과 증기의 조성이 서로 다른 원리를 이용해서 물질을 분리하는 설비인데요. 주입된 두 물질의 혼합물을 각각 순수한 물질로 분리한다기 보다는 한번의 액상과 기상 평형을 이용해서 대략적으로 분리하는 것이라 이해하면 됩니다. 가장 기본적인 원리의 이해를 위해 '안정된 연속식 증발기 (steady-state continuous evaporator)'를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정된 연속식이라는 조건을 두는 이.. 더보기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 '에너지관리팀'에 맡겨주세요! 안녕하세요, 한화토탈 블로그지기입니다.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에너지 관리는 공장의 필수사항인데요. 공장의 규모가 커질수록 그 필요성은 높아지게 됩니다. 또한 최적화를 통한 비용 절감은 우리 회사의 수익성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죠. 온실가스 배출권 시장 역시 석유화학 기업이라면 주의 깊게 관리해야 할 중요한 시장인데요. 이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부서가 있으니, 바로 '에너지관리팀'입니다. 단지 전반의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해 뭉친 유틸리티 운영의 지휘자들을 여러분께 소개드리겠습니다. Q 에너지관리팀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공장의 규모가 커지고 복잡해지면서 한정된 유틸리티 설비의 효율적인 운영이 필요해졌는데요. 그래서 에너지 최적화를 통한 에너지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하는 에.. 더보기 버려진 과자봉지가 새로운 에너지를 만든다? 안녕하세요, 한화토탈 블로그지기입니다. 환경보호를 위해 쓰레기를 줄여야 하는 것은 잘 알고 있지만,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라면이나 과자를 하나 먹어도 비닐 쓰레기가 나오게 됩니다. 그런데, 이 비닐들은 모두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잘 몰라 그냥 버려지거나 일반 쓰레기와 함께 섞여 배출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버려지는 비닐만 재활용해도 쓰레기 양을 줄일 수 있답니다. 우리가 평소 즐겨 먹는 과자봉지와 라면봉지가 재활용 공정을 거쳐 새로운 에너지 또는 제품으로 재탄생하기도 하는데요. 오늘은 버려지는 비닐봉지가 어떻게 재활용되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1 폐비닐은 어떻게 재활용이 될까? 일반적으로 폐비닐은 재활용업체에 수거되면 파쇄와 세정, 건조 과정을 거쳐 작은 알갱이로 만들어지는데요. 이렇게 만들어진.. 더보기 산업현장 안전의 필수! 안전화와 안전모의 올바른 착용법 한화토탈과 같은 석유화학공장에서 가장 중요한 기본 중 하나. 안전하게 공장을 누비기 위한 안전화와 안전모입니다. 다양한 사고 예방의 첫걸음이 되어 주는 안전화, 안전모는 평소 공장을 찾아오는 많은 분들이 잘 착용하는데요. 오늘은 덧붙여서 안전화와 안전모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올바른 착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01 안전화와 안전모의 역할 '안전화'는 물체 낙하라든지 찔림에 대해서 발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고요. 기능이나 특성에 따라 고무제 안전화, 가죽제 안전화, 내화학물질 안전화, 정전기 방지 안전화가 있습니다. 한화토탈에서는 대부분 가죽제 안전화를 사용하는데요. 일부 가죽제 안전화 중에 정전기능이 있는 안전화도 있고요 그리고 특수한 상황이나 작업시에 내산장화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안전모'는 물.. 더보기 체중감량과 건강을 한번에! 체중조절 Power-Up 건강 프로젝트 안녕하세요, 한화토탈 블로그지기입니다. 본격적인 여름철을 앞두고 체중조절하시는 분들 많으실 텐데요. 한화토탈에서는 해마다 ‘체중조절 Power-Up 건강 프로젝트’를 시행해 임직원들의 건강관리를 돕고 있답니다. 한화토탈의 건강 프로젝트, 어떻게 진행되는지 확인해볼까요? 01 체중은 Down, 건강은 Up! 한화토탈의 ‘체중조절 Power-Up 건강 프로젝트’는 운동부족으로 인한 만성질환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고자 기획된 프로젝트인데요. 지난 2019년 시행했을 때 180여명이 도전해 13명이 감량 목표 달성에 성공한 바 있답니다. 올해도 역시 임직원들의 뜨거운 관심 속에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는데요. 지난 5월에 신청을 받아, 6월부터 오는 12월까지 체중조절에 들어가게 됩니다. 02 감량 성공하면 푸.. 더보기 교실 안 석유화학 제품 이야기 안녕하세요, 한화토탈 블로그지기입니다. 지난 달부터 일상 속 화학 이야기를 들려드리고 있는데, ‘병원 속 화학이야기’에 이어 오늘은 ‘학교 안의 석유화학’ 이야기를 준비했습니다.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우리 삶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학교 생활에서 석유화학 제품은 과연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01 교내 방송용 스피커 _ ABS 매 수업 시간, 그리고 모두가 기다리던 점심을 알리는 종소리까지. 학교에서 이뤄지는 대부분의 안내 방송은 교내 곳곳에 설치된 방송용 스피커를 통해 송출됩니다. 학생에게 전달할 사항을 손쉽게 전파할 수 있기에 학교 안의 필수품이나 다름없는 셈인데요. 스피커는 석유화학 제품인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타이렌(Acrylonitrile Butadi.. 더보기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줄이는 친환경 기술 6월 8일은 바다의 소중함을 일깨우기 위해 제정된 ‘세계 해양의 날’입니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매년 우리나라 바다로 들어오는 해양쓰레기 양은 약 18만 톤으로, 전 세계 바다로 유입되는 플라스틱 쓰레기는 연간 800만 톤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세계 해양의 날을 맞아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어떤 노력들이 이뤄지고 있는지, 그리고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01 미세 플라스틱의 역습 2017년 UN 오션컨퍼런스는 바다 쓰레기의 80%가 바로 ‘해양 플라스틱’이라고 밝혔는데요. 우리도 뉴스를 통해 바다생물의 몸 속에서 플라스틱이 발견된 것을 종종 목격하고 있습니다. 바다 속 플라스틱 쓰레기는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분해돼 우리.. 더보기 부산물로 만드는 친환경 에너지, 부생수소 연료전지를 아시나요? 우리에게 익숙한 에너지는 화석연료를 태워 얻는 에너지인데요. 하지만 이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해 지구온난화라는 환경오염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탄소배출을 줄이고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는 친환경 에너지에 주목하고 있는데요. 그 중에서도 '수소 에너지'는 사용하고 나면 부산물로 오직 ‘물’만을 만들어 내기 때문에 미래 청정 에너지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19년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하고, 2040년에 연간 526만 톤의 수소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요. 총 공급량의 70%를 부생수소, 수전해, 해외생산으로 충당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부생수소'란 무엇인지 궁금하실 텐데요. 오늘은 '수소에너지'와 함께 수소를 친환경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인 '부생수.. 더보기 이전 1 ··· 60 61 62 63 64 65 66 ··· 100 다음